CPM 치료기(Continuous Passive Motion)는 수술 또는 외상 후 관절 가동 범위를 회복시키기 위한 수동 관절 운동 치료 장비입니다. 주로 무릎, 어깨, 팔꿈치, 고관절 등의 수술 후 초기 재활 과정에서 사용되며, 환자가 스스로 움직이지 않아도 기계가 관절을 지속적으로 움직여 줌으로써 관절 구축(굳음)과 유착을 방지합니다.
1. CPM 치료기의 작동 원리
CPM 기기는 환자의 관절에 맞게 설계된 장비로, 정해진 각도와 속도로 관절을 지속적이고 수동적으로 반복해서 움직입니다. 움직임은 천천히 진행되며, 통증 없이 안전한 범위</strong 내에서 가동되기 때문에 수술 직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계는 조직 회복을 촉진하고, 관절의 유연성과 혈류 공급을 개선하며, 부종 감소와 흉터 조직 생성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치료 목적 및 효과
- 관절 유착 및 구축 예방
- 연골 및 연부조직 회복 촉진
- 관절 가동범위(ROM) 개선
- 수술 후 빠른 재활과 회복
- 관절 내 혈류 순환 개선
- 부종 완화 및 통증 감소
3. 적용 대상
- 무릎 인공관절 수술(TKR) 후 초기 회복기
- 십자인대 재건술, 반월상 연골 수술 후
- 어깨 회전근개 봉합술 후
- 고관절 수술 후
- 팔꿈치, 손목, 발목 관절의 제한 환자
- 관절강직 예방이 필요한 노인 환자
4. 치료 방법
일반적으로 CPM 치료는 하루 20~40분, 하루 2~3회 정도 시행하며, 치료 시간과 각도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절합니다. 처음에는 짧은 시간과 낮은 각도로 시작하여, 회복 상태에 맞춰 서서히 증가시킵니다. 모든 과정은 전문의 또는 물리치료사의 지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며, 환자가 통증 없이 자연스럽게 운동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주의사항
- 수술 직후 적용 시, 절개 부위의 출혈이나 통증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관절 주변에 부종, 염증, 감염 등이 있는 경우는 일시적으로 사용을 중지해야 할 수 있습니다.
- 기기 사용 전후 관절 상태를 의료진과 상의하며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 과도한 각도 설정은 오히려 조직 손상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6. 결론
CPM 치료기(수동관절운동기기)는 수술 또는 외상 후 관절의 유연성 회복과 통증 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재활 보조 장비입니다. 특히 초기 회복 단계에서 환자가 능동적으로 관절을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수동적이고 반복적인 운동을 통해 관절 가동 범위를 유지하고 2차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CPM 장비가 보급되며, 병원 외 환경에서도 꾸준한 재활 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모든 환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전문 의료진의 진단과 처방 하에 사용해야 하며, 적절한 치료 기간과 강도 조절이 동반되어야만 최적의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CPM 치료는 단독 치료보다는 도수치료, 운동치료, 물리치료 등과 함께 병행할 때 더욱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빠른 일상 복귀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통증치료 , 재활치료 그리고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사치료(스테로이드, 프롤로 등)의 원리와 효과 알아보기 (0) | 2025.05.02 |
---|---|
신경차단술(Nerve Block) 치료 원리 및 효과 알아보기 (0) | 2025.05.01 |
TENS 치료 (경피신경전기자극) 효과 알아보기 (0) | 2025.05.01 |
도침치료(Dry Needling)의 원리와 효과 알아보기 (0) | 2025.05.01 |
Benefi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t Regional Universities in Depopulated Areas of Korea & Post-Graduation Settlement Opportunities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