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도수치료와 추나요법 개요
- 도수치료: 물리치료사가 손으로 관절, 근육 등을 조작하는 치료법. 근골격계 통증 개선에 효과적.
- 추나요법: 한의사가 척추, 관절을 교정하여 통증 완화 및 신체 균형 회복을 돕는 한방 치료법.
2. 건강보험 적용 여부
도수치료: 건강보험 비급여
도수치료는 현재 건강보험 급여 대상이 아니며, 전액 자비 부담입니다.
추나요법: 건강보험 급여 적용
- 2019년부터 건강보험 적용 시작
- 단순 추나: 연 20회 / 복잡 추나: 연 8회 적용
- 건강보험 적용 시 본인부담금 30~50%
- 한의사 시술, 한의원 또는 한방병원에서만 가능
3. 실손의료보험(실비보험) 적용 여부
3.1 도수치료
- 의사의 처방과 진단서 필수
- 통증 완화 목적의 의료적 치료일 경우 일부 보장 가능
- 과도한 청구 시 보험사에서 지급 제한 또는 사전심사 시행
3.2 추나요법
- 건강보험 외 비급여 추나에 대해 실손보험 적용 가능
- 진단서 및 소견서 필요
- 급여 항목 외 치료 시 보장 제외 가능
4. 보험사별 제한 강화 동향
항목 | 내용 |
---|---|
청구 심사 강화 | 의사 소견서, 진단명 명확히 확인 |
횟수 제한 | 연간 도수치료·추나 치료 횟수 제한 |
사전 승인제 | 일부 보험사는 고액 치료 시 사전승인 요구 |
특약 분리 | 도수치료 특약을 기본계약에서 분리 |
5. 도수치료 vs 추나요법 비교 요약
구분 | 도수치료 | 추나요법 |
---|---|---|
시술자 | 물리치료사, 의사 | 한의사 |
건강보험 적용 | 비급여 (❌) | 급여 적용 (✅) |
실비보험 | 일부 보장 (조건 있음) | 일부 보장 (급여 외 비급여만) |
제한사항 | 진단서 필요, 목적 명확해야 | 연간 횟수 제한, 시술자 제한 |
6. 결론
도수치료와 추나요법은 비수술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건강보험과 실비보험 적용 범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추나요법은 일정 기준 하에 건강보험 급여 적용이 가능하며, 도수치료는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지만 실손보험에서 일부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보험 청구 시 사전 확인과 정확한 진단서 제출이 중요하며, 최근 보험사들의 지급 기준이 까다로워지고 있는 만큼 사전에 관련 기관 또는 병원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통증치료 및 재활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특목고 비교 – 과학고, 외고, 국제고 (0) | 2025.04.13 |
---|---|
허리통증 치료, 병원과 한의원 어디가 더 좋을까? (0) | 2025.04.13 |
통증 유발 트리거 포인트의 원인과 근막이완술 치료가 되는 이유 (0) | 2025.04.13 |
근막 통증 증후군(MPS) -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알아보기 (0) | 2025.04.13 |
근육에너지기법( MET:Muscle Energy Technique) 알아보기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