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추나요법과 도수 치료는 모두 손을 이용한 치료법이지만, 교육 과정과 적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추나요법은 한의학 기반의 치료법으로 한의사만 시술할 수 있으며, 도수 치료는 서양 의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물리치료사가 수행하는 치료법입니다. 두 치료법을 배우려면 각각의 전문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1. 추나요법 교육 과정 (한의사 대상)
추나요법은 한의사만 시술할 수 있으며, 이를 배우기 위해서는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한의사 면허를 취득한 후 대한한의사협회 및 관련 기관의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① 한의과대학 졸업 및 한의사 면허 취득
- 한의과대학(6년제) 졸업 후 한의사 국가시험 합격
- 추나요법 관련 기초 이론 및 한의학적 접근법 학습
② 대한한의사협회의 공식 추나 교육 과정 이수
- 대한한의사협회 또는 대한추나학회(KSOT)에서 시행하는 교육 과정 수료
- 추나요법의 기본 원리, 근골격계 치료법, 교정 기술 습득
-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기술을 익힌 후 인증 수료증 취득
③ 병·의원 실습 및 임상 적용
- 한의원 또는 한방병원에서 실무 경험을 쌓으며 치료 적용
- 추가적으로 심화 과정(특수 추나, 교정 추나 등) 수강 가능
2. 도수 치료 교육 과정 (물리치료사 대상)
도수 치료는 물리치료사 면허를 취득한 후 전문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도수 치료는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며, 국제 인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① 물리치료학과 졸업 및 물리치료사 면허 취득
- 4년제 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물리치료학과 졸업
- 보건복지부 주관 물리치료사 국가시험 합격 후 면허 취득
② 도수 치료 전문 교육 과정 수강
- 대한물리치료사협회(KPTA) 및 재활의학 관련 교육 기관에서 제공하는 도수 치료 과정 수강
- 해부학적 접근법, 신경 및 근골격계 치료 기법, 교정 기법 학습
- 정형도수치료(OMPT), 척추 교정 치료, 근막 이완법 등의 다양한 기법 습득
③ 국제 도수 치료 자격 취득 (선택사항)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 인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OMPT(Orthopaedic Manual Physical Therapy): 정형 도수 치료 국제 인증
- Maitland Concept: 관절 도수 치료 기법
- Mulligan Concept: 신경 및 근골격계 도수 치료
3. 결론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한의학적 원리에 따라 교정하는 치료법으로, 한의과대학 졸업 후 대한한의사협회의 추나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도수 치료는 물리치료사가 시행하는 근골격계 치료법으로, 물리치료 면허 취득 후 추가 교육을 통해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해야 합니다.
두 치료법 모두 환자의 상태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교육과 실습을 통해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통증치료 , 재활치료 그리고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 견인기(척추 감압기) 효과가 있을까? 허리 디스크 및 요통 치료에 도움될까? (0) | 2025.03.10 |
---|---|
물리치료사가 되는 방법 (0) | 2025.03.10 |
물리치료사가 독립적으로 개원할 수 있을까? (0) | 2025.03.10 |
도수 치료와 추나요법의 차이점 (0) | 2025.03.10 |
추나요법 알아 보기 (0) | 2025.03.09 |